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들은 뛰어놀며 자란다… 그런데 소풍은 취소?

 

 

봄 소풍 나온 어린이들 (연합뉴스)

 

 

 

요즘 뉴스에서
"봄소풍, 수학여행이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예전엔 교실 벽에 소풍 날짜 적어두고,
누가 뭐 싸오는지 메뉴까지 나누던 그 설렘이
이제는 '감방 리스크'라는 단어에 가려졌습니다.

 

 

 


 

 

지난 2월 11일 강원 춘천지법 앞에서 열린 현장학습 사고 인솔 교사 선고 관련 기자회견에서 강주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이 이날 재판에서 체험학습 사고 인솔 교사에게 유죄를 판결한 재판부에 유감을 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이들의 ‘놀 권리’가 지워지고 있다

 

 

교사들의 부담이 너무 크다고 합니다.
책임은 무겁고, 보호자는 민감하고,
학생 수는 많고, 리스크는 커졌다고요.

그래서 선생님들이 외부 체험학습을 피하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뛰어놀 때 뇌가 발달하고,
함께 부대끼며 사회성을 배웁니다.
버스에서 짝꿍이랑 간식 나눠먹고,
첫 도시락 까먹던 기억.
그건 시험 성적보다 오래 남는 배움 아닐까요?

 

 


 

감포정 벚꽃길 / 사진=경주문화관광 출처

 

우리는 어떤 미래를 아이들에게 줄 수 있을까

 

‘위험하니 하지 말자’는 사회는 결국
아이들에게 닫힌 세상만을 보여줍니다.
안전을 이유로 아이들의 경험을 뺏는 건
과연 진짜 그들을 위한 걸까요?

학교만이 책임질 수 없는 일이라면,
사회 전체가 함께 지는 방식도 고민해야 합니다.


안전을 위한 대책은 철저히 하되,
아이들의 삶은 가난하게 만들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요?

 

 

 

 


 

 

마무리

 

소풍은 작은 여행이지만,
아이들에겐 세상을 배울 수 있는 첫 발걸음입니다.
어른들은 지켜야 할 게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지켜야 할 건
아이들의 웃음과 자유로움 아닐까요?